IT/ISMSP

제로트러스트 가이드라인 2.0 요약

Bloger A 2024. 12. 29. 10:14
반응형

 

제로 트러스트 가이드라인 2.0이 발간됐다.

 

 

다운로드 링크는 여기!

 

https://www.kisa.or.kr/2060204/form?postSeq=18&page=1

 

KISA 한국인터넷진흥원

안녕하세요. '제로트러스트 가이드라인 2.0'을 공지합니다.  본 가이드라인은 산·학·연 보안 전문가들과 국내·외 최신 동향, 도입 사례를 분석하고 수요·공급기관 대상 의견 수렴을 거쳐 국내

www.kisa.or.kr

 

 

바로 파일 다운로드는 여기

제로트러스트_가이드라인_2.0.pdf
6.79MB

 

 

상세 목차와 내용 요약은 아래와 같다.

 

제로트러스트 가이드라인 2.0 목차 요약

1장: 제로트러스트 가이드라인 2.0 개요

  1. 발간 배경
    • 디지털 전환과 사이버 위협 증가로 인해 기존 경계 기반 보안 체계의 한계가 부각됨.
    • 제로트러스트는 "절대 신뢰하지 말고 항상 검증"이라는 새로운 보안 철학에 기반.
  2. 목적 및 구성
    • 기업이 제로트러스트 도입 시 고려해야 할 필수 요소, 도입 준비, 분석 방안을 제시.
    • 기업의 규모, 디지털 자산, 보안 투자 여건을 고려한 유연한 전략을 강조.
  3. 주안점
    • 성숙도 모델 세분화: 기존 3단계 → 4단계로 확장(초기, 기존, 향상, 최적화).
    • 도입 절차와 효과성 분석 방안을 구체적으로 기술.

2장: 제로트러스트 보안 모델 및 도입 필요성

  1. 아키텍처 보안 모델
    • 경계 기반 보안에서 비신뢰 기반 모델로 전환.
    • 접근 요청 시 인증 및 신뢰 평가를 필수적으로 수행.
  2. 도입 필요성
    • 경계가 모호해진 현대 네트워크 환경에서 보안 강화를 위해 필수적.
    • 기업 자산을 보호하고, 내부자 위협 및 외부 공격에 대응 가능.

3장: 제로트러스트 성숙도 모델 및 세부역량

  1. 성숙도 모델 2.0
    • 한국형 성숙도 모델 정립: 각 단계별 특징과 요구 기능 정의.
  2. 보안 세부역량
    • 6가지 핵심 요소 및 2가지 교차 기능에 대해 52개 세부역량 정의.
    • 기술 도입 시 참고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능 제시.
  3. 구현 방안
    • 기업 환경에 맞는 제로트러스트 아키텍처 설계 방법 제안.

4장: 제로트러스트 도입 준비 방안

  1. 도입 고려사항
    • 기업 내외부 환경과 목표에 따라 유연한 접근 필요.
  2. 역할 및 목표 설정
    • 각 구성원의 역할과 책임 정의.
  3. 구성 방안
    • 현재 기업망 분석 및 제로트러스트 아키텍처 정의.
  4. 도입 준비 예시
    • 개발망 사례를 통해 실무 적용 가이드 제공.

5장: 제로트러스트 도입 수준 분석

  1. 성숙도 기반 도입 수준 분석
    •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기업의 보안 성숙도 평가.
  2. 침투 시험 기반 효과성 분석
    • 실제 시뮬레이션을 통한 제로트러스트 도입 효과 확인.

부록

  1. 용어 및 약어 정의
    • 관련 개념과 기술 용어 설명.
  2. 국내외 사례
    • 국내 실증 사례와 미 연방정부 도입 현황.
  3. ISMS-P 인증과의 연계
    • 국내 보안 인증 기준과 제로트러스트 성숙도 모델의 연관성 분석.

 

 

 

반응형